어느 날 우연히 TV를 보니 사천 와룡산을 소개하면서 리포터의 하얀 셔츠에
매직으로 王자를 써주었고,
그리고 사천이 왕의 고을임을 여러가지로 보여줬다.
이에 관심을 갖고 공부를 해보니,
고려태조 왕건은 삼국을 통일하는 과정에 전국의 호족세력을 규합하는 수단으로
여러고을에서 무려 29명의 부인을 얻었고 아들 25명, 딸 9명, 총 34명의 자식을 낳았다.
그 중 한 왕자가 왕욱(王郁)이고, 그의 아들 ‘왕순’은 훗날 6대왕 현종이 되었는데
사천의 고자실(학촌) 마을과 왕욱(王郁)에 얽힌 전해진다.
신라와 고려시대는 권력을 남에게 내주기 싫어 근친혼이 성행 했는데
헌애 왕후가 자식이 없으므로 궁궐을 나가 사가에 살았고, 이웃에 살던 왕욱(王郁)과
자주 왕래하다보니 정분이 났다.
이 일로 왕욱은 두 달된 아들 왕순과 사천으로 귀양을 와 서로를 그리며 왕래하면서
아들을 되돌아보며 갔다하여 ‘고자실’ 마을이 되었다
또 하나의 왕의 자취는 태실(胎室)!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는 사람이 태어나면 태(胎)를 항아리 등을 이용해
땅에 정성스럽게 묻어두는 풍습이 있었다.
그 태를 묻어 둔 곳을 태실지, 묻어져 있는 봉우리를 태봉(胎峰)이라고 했다.
특히 왕의 태실은 즉위하는 그 해에 만들어졌는데, 왕의 치세는 태실에서 시작된다고 믿었다.
전국적으로 태를 묻을 길지를 찾았고 왕이 직접 선택했다. 심지어 그 곳에 이미 민묘가 있는
경우는 왕이 직접 즉시 이장하라는 어명을 내렸다
그 중, 세종대왕과 단종의 태실지가 사천시 곤명면에 있다. 세종은 우리나라 역대 왕중
가장 업적을 많이 남긴 최고의 성군이다. 그럼에도 임진왜란 때 왜구에 의해 파손되었다.
1929년경 일제는 조선왕조의 맥을 끊고, 우리나라를 완전히 식민화하기 위해
전국의 태실에 있던 태항아리를 서삼릉으로 강제 이전시키는 만행을 자행했다.
이 때문에 세종대왕의 태실도 자기 자리를 빼앗긴 채 여기저기 흩어져 떠도는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그런 때문일까? 왕을 상징하는 ‘龍’
그 용이 누운 산 ‘와룡산!
지칠줄 모르는 세월은 어느덧 2년이 흘렀다. 다시 그 곳을 겉는다.
4번째 오르는 ‘와룡산’, 거기를...
▲ 다시 찾은 아름다운
와룡산.
▲ 와룡마을에서 올려다 본 좌측 상사바위(천왕봉),
우측 새섬봉.
가운데는 도암재입니다.
▲ 한참을 오르면 만나는 임도,
용두공원에서 시작합니다.
▲ 짙은 신록의 숲으로.
▲ 도암재를 만나고,
너머 남양동에서 오르면 여기서 만납니다.
상사바위를 다녀오기도 하지요(왕봉 1K).
▲ 새섬봉까지는 가파른 1K.
▲ 돌탑을 볼 적마다
쌓는 이들의 정성과 노력에 감동하지만
침하를 부추긴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 어디에 이 빛과 모양을 감추고
겨울을 견딜까?.
▲ 25m의 왕관바위
그 조망은 시원하기 그지없고.
▲ 새섬봉 방향을 저리 올려다 봅니다.
▲ 아름다운 와룡마을,
그 시절 종주길은 저 능선을 다 걸었지요.
▲ 엄청난 바위산 허리를 돌아
텍이 설치되었지요.
▲ 되돌아보면 삼천포 시내,
중앙 굴뚝 건물은 화력발전소.
▲얼만큼 세월이 흐르면
이런 암괴류가 될까?.
▲ 가득찬 푸르름, 시원한 바람,
따사로운 햇살.
▲ 저 앞으로 '사량도'도 보이고.
▲수반 위의
꽃 같기도 합니다.
▲ 좌측 너머로 새섬봉,
우측 민재봉.
▲ 그 시절 종주 길은
암릉으로만 걸었지요.
▲ 그 정겨운 인걸들은 어디가고
산천만 의구합니다.
▲그 짜릿했던 시절
세월은 이렇게 바꾸어 버립니다.
▲ 우회로를 버리고
조금 암릉길을 걸어보고.
▲ 어느 업자에게 맡기면
이런 풍경을 조경할까.
▲ 이끼류가 암석을 분해한다는
지질학은 진실인듯.
▲ 민재봉보다 2m가 높은 새섬봉,,,,
새 한 마리만 앉았다는
노아홍수 같은 이야기.
▲ 거기서 바라보는 민재봉 능선.
▲ 북쪽으로는
백천사와 저수지가 아름답습니다.
▲ 그 꿈결같은 길..
지리 종주 길이 문득 그리워집니다.
▲ 시간의 개념을 버리고
넉 놓고 행복을 봅니다.
▲ '조화'라는걸 형상으로 나타낸다면
이럴거라고
▲ 감사한 시절이고
과분한 은혜 인것을..
▲바람 시원한 능선길..
이제부터는 양 옆으로 철쭉의 향연.
▲ 흡사 지리 바래봉을 닮은듯도 한 민재봉.
▲ 거기에 앉으면 누구나
모델이 되지요.
▲ 꽃길을 걷는 시간은
속도의 개념은 없어지고
▲ 올적마다 보는 인파,
여기는 단체로 식사하기 좋은 곳
▲ 거기서 식사를 하고
다시 끛 길을 갑니다.
▲ 꽃을 배경으로 내려다 보는
와룡마을.
▲ 지나 온 길을
되돌아보고
▲ 봄 숲에서 느끼는 왕성한 생명력,
얼마나 위대한 기운인지.
▲ 드디어 민재봉,
북쪽 너머로는
백천사에서 오르는 길이 있지요.
▲ 높이 799m, 대한민국 지도
등재기준이 800m 이상이라니
얼마나 애석했던 높이인가?
▲ 다행이 최근에 새섬봉 측량에서
801m가 나왔다니..
▲ 민재봉(旻岾峯 799m) 하늘과 땅이 맞닿은 봉우리란 뜻의 민재봉
동서남북 막힌 곳이 없을 뿐 아니라
키 큰 나무도 바위도 없어 시야를 가릴 것이 없어 좋지요.
▲이제 남쪽으로 용두마을은 6.5k.
그러나 중간에 내려가는 길이 여럿 있습니다.
▲ 그 평화로운 풍경,
누구나 한참을 앉아 세월을 잊지요.
▲ 저 멀리 상사바위,
그 건너로는 남해군입니다.
▲ 내려갈 기차바위 방향,
그 종주 길의 추억이 그립습니다.
▲ 꽃 밭에서의 행복.
▲ 그 평화로운 능선길.
▲ 드디어 기차바위,
▲ 거기서 올려다 보는 민재봉
▲ 내려 갈 와룡마을
▲삼천포 사람들은 일찍 기차를 봤으니 이 이름이 붙었을까?.
울릉도 사람이나 제주도 사람들이라면
이 이름을 붙일 줄 몰랐겠지요.
▲어릴적 우리도 '기차 타 봤다'가
요즘 비행기 타 봤다는 소리보다
더 큰 자부심이었으니....
▲하기야 독일의 괴테도 그토록 영국의 기차를 흠모했는데
자기 조국에서는 그의 사후 2년 후에나
기차가 생겼으니 타보지 못했지요.
▲ 오늘은 청룡사 바향으로 내려가자고
▲ 그러나 그 너덜 길에 오며 오며
후회를 했지요.
▲내려선 청룡사,
그 정갈함과 정성 드린 조경이 아름다웠고.
▲ 다시금 이 강산에
일상의 행복이 찾아오길.
▲풍성한 자태도 고운 빛깔도
연초록 잎새 사이로 햇살이 투과되면
더 눈부시게 아름답습니다.
▲신록을 통해 번잡한 세상에서
잠시라도 떠나
순수하고 맑은 아름다움을 누리고 싶은...
▲다시 되돌아 온 와룡마을.
▲봄을 움추 리게 했던 바람은
이제 시원한 실록의 계절로 접어든 오늘...
추억의 그 길 빗속을 걸었지요
그리운 이들을 가슴으로 회상하며...
.................................
나무의 시/ 류시화
나무에 대한 시를 쓰려면 먼저
눈을 감고
나무가 되어야지
너의 전생애가 나무처럼 흔들려야지
해질녘 나무의 노래를
나무 위에 날아와 앉는
세상의 모든 새를
너 자신처럼 느껴야지
네가 외로울 때마다
이 세상 어딘가에
너의 나무가 서 있다는 걸
잊지 말아야지
그리하여 외로움이 너의 그림자만큼 길어질 때
해질녘 너의 그림자가 그 나무에 가 닿을 때
넌 비로소 나무에 대해 말해야지
그러나 언제나 삶에 대해 말해야지
그 어떤 것도 말고
'山行..그리움따라 > 경남.부산.울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고성. 연화산(蓮華山·528m/연화산도립공원주차장-매봉-느재-싸리재-시루봉왕복-느재-옥천사-주자장 7K.5H)& 함안 연꽃테마파크 (0) | 2022.07.13 |
---|---|
경남 창원 무학산(舞鶴山,761.4m/ 중리우체국-시루봉삼거리-정상-서원곡/8K,4H) (0) | 2022.06.27 |
창원 천주산(天柱山·641m/ 산정마을-구고사-농바위-천주산-금강계곡3거리-예곡삼거리-산정마을/9K. 4H). (0) | 2022.04.18 |
부산.가덕도(加德島)연대봉(烟台峰·459m)새바지항-희망정-어음포-어음포초소-연대봉-지양곡갈림길-새바지항& 대항마을(6.2K) (0) | 2022.01.10 |
진해시계종주길2(안민고개-웅산-시루봉-수리봉-천자봉-대발령 (10K.6H) (0) | 202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