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로부터 추풍령과 죽령을 잇는 고개의 남쪽 땅을 ‘영남지방’이라 했고
그 영남지방을 다시 낙동강 동쪽를 서울서 봤을 때 좌측이라 하여 경상좌도, 서쪽을 경상우도라 했다
지금부터 약500년전인, 1501년, 이 영남 땅 우도와 좌도에는 걸출한 학자 두 명이 탄생했는데
안동출신 퇴계 이황(1501~1570)과 합천 출신 남명 조식(1501~1572)이다.
두 사람은 분명 매우 뛰어난 성리학자 였지만 학문적 경향은 매우 달라서, 이황이 성리학
이론을 정교히하여 개인 수양을 쌓는 공부를 중시한 반면 조식은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실천하는 삶에 더 비중을 두었다.
이황의 학문은 당대뿐 아니라 조선시대 내내 많은 선비들에게 영향을 주며 이른바 ‘퇴계학파’라는
큰 학맥을 형성했으며, 지금도 국내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심도 깊게 연구되고 있다.
남명 조식은 인간의 심성과 함께 성리 철학의 핵심 주제인 의리를 평생 동안 탐구하고
당대의 사회 모순과 정치 현실을 적극적으로 비판하며 선비의 길을 걸어갔던 선비 중의 선비였다.
제자를 가르치는데 있어서도 이황이 성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 수양을 쌓는 공부에 비중을
두었다면, 조식은 이론보다는 사회적 실천을 더 중시하여 제자들에게도 실천적 삶을 강조하여
많은 개혁가나 의병 운동가등이 배출되었다.
두 사람의 삶 중 어느 삶이 학자로서 더 올바른지는 쉽게 판단할 수 없다
다만 이황은 대학자로 현재까지 회자되고 있으며, 조식 또한 실천적 지식인의 표본으로 세상에
자신의 이름을 뚜렷이 남겼다.
남명은 가야산 자락에서 태어났지만 유독 지리산을 좋아했다. 58세 때까지 지리산을 10여
차례 올랐으며 61세 때는 천왕봉 아래 ‘덕산’으로 거처를 옮겼다. 지리산을 동경해서다.
지리산은 실천적 유학자 남명의 사상적 고향이었다. ‘하늘이 우는’ 혼돈의 세상에서 울지 않고
의연히 서 있는 천왕봉처럼, 그는 우뚝 서서 의연히 버팀목이 되고자 했다.
남명은 지리산을 유람하면서 <유두류록/遊頭流錄)>이라는 유람록을 남겼는데 그는
이 유람록 끝에 ‘물을 보고 산을 보고, 그리고 사람을 보고 세상을 보았다.(간수간산 간인간세/
看水看山 看人看世)’라고 썼다. 남명의 이 여덟 자 짧은 구절은 오늘날 여행을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를 새삼 느끼게 된다.
공부를 하되 이론으로 머물지 않고 깨달은 바를 삶으로 이어가는
즉, 몸으로 공부를 하는 사람, 우리가 남명을 배워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남명은 덕산에서 12년을 살다가 1572년 세상을 떠났다. 그의 삶은 요란하지 않고 조용했다.
그러나 곽재우를 비롯한 많은 그의 제자들은 의병같은 실천하는 삶으로의 그의 가르침은 계속
천둥처럼 세상에 울렸다.
남명은 어느덧 지리산 천왕봉이 되어 우리의 스승으로 거기 그대로 있다.
웅석봉(熊石峰·1099m)
지리산 천왕봉(1915m)에서 동쪽으로 중봉과 하봉으로 이어지고 쑥밭재-새재-외고개-왕등재-
깃대봉을 거쳐 ‘밤머리재’에서 다시한번 치솟은 산이다
지리산에서 흘러온 산이면서도 지리산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산으로 지리산을 막아선 듯
버티고 서서는 산청읍을 휘감아 흐르는 경호강에 물을 보태준다.
큰 스승 남명이 바라봤을 웅석봉,
산세가 하도 가파르고 험해서 곰이 떨어져 죽었다고도 하고, 산의 모양새가 곰을 닮았다 해서
웅석봉이라 한다고도 하는 그 곳,.
남명이 사랑했던 천왕봉을 그립게 종일 건너다 보며...
그렇게 걷는다.
▲ 정겨운 오솔길 단합대회의 날,
이웃 여러 산악회와 일일회원들도 동참해 주셨습니다.
▲ 밤머리재
단성IC에서 고속도로를 진출하여
중산리방향으로 가다가 시천면과 삼장면을 거쳐
힘겹게 올라오는 59번 국도의 600m 고지에 있습니다.
산청군 삼장면과 금서면의 경계입니다.
▲ 웅석봉은 지리산 태극종주(90.5km)상에 있습니다.
. 천왕봉에서 시작된 산줄기가 중봉과 하봉으로 이어져 쑥밭재~새재~외고개~왕등재~
깃대봉을 거쳐 밤나무가 많아서 이름 붙여졌던 밤머리재에 이르러
다시 한 번 치솟는데 이 산이 웅석봉입니다.
▲웅석봉(熊石峰, 1099m)
지리산에서 흘러온 산이며,
지리산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산이지만 지리산국립공원밖에 있습니다.
1983년 11월 23일 군립공원으로 지정됐습니다.
▲ 출발하자마자 15분 정도의
가파른 길이 이어지고
▲ 비오지 않는 것만도 감사한 날씨이지만
후텁지근한 습도 많은 날씨는 어떨 수 없습니다.
▲초입에서 능선을 거쳐 정상에 이르기까지
참나무 숲이 밀림을 이루고 하늘을 덮습니다.
▲ 밤머리재가 산록을 갈라내서 단산처럼 보이지만
지리의 한 봉우리 임에 틀림없습니다.
▲ 그렇게 1K를 오르면
대장마을에서 오르는 삼거리를 만납니다.
▲아! 조망이 열립니다.
좌측으로 정수산, 우측으로 둔철산입니다.
그 너머로 황매산도 선명히 보이지만 오늘은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 그 앞으로 산청읍이 아늑하고
대전- 통영 고속도로와 구절양장으로 흐르는 경호강이 시원합니다.
▲ 언제난 정겨운 님들,
오늘 응원차 동행한 멘토님들 이십니다.
▲ 아! 지리...
천왕봉은 구름속에 있고 유장한 흐름으로
태극종주길은 이 곳으로 이어져 옵니다.
앞 봉은 도토리봉.
▲ 가야 할 웅석봉도 구름 속에 있습니다.
여러번 오르내려야 합니다.
▲웅석봉은 글자대로 ‘곰바위 산’입니다.
워낙 가파르고 험준한 산세 때문에 곰이 떨어져 죽었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라고도 하고,
▲산의 모양새가 곰을 닮았다 해서 부르는 이름이기도 합니다.
이런 전설이 굳이 아니더라도
웅석봉은 곰처럼 당차게 솟아있습니다.
▲ 가다가 힘들면 쉬어가면 되고,
실없는 유머에 한바탕 웃으면 새 힘이 납니다.
끼어 보려니 필자는 얼굴 주름이 너무 많아져서 그냥 지나칩니다.
▲ 왕재
지곡사에서 출발해도 이 왕재에서 만나게 됩니다.
지곡사 길을 타면 왕재에 다다르기 전 조선 전기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 거두인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선생이 자주 들렀다는
초입 지곡사와는 다른 지곡사터(智谷寺址)를 만납니다.
이 터는 임진왜란 당시 화약을 만드는 곳이기도 했습니다.
김시민(金時敏, 1554~1592) 장군이 1592년 진주성 싸움에서 이길 수 있었던 것은
염초(焰硝) 150근을 미리 구워놓은 것이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하는데,
지곡사가 바로 화약의 가장 중요한 원료인 염초를 구운 곳이었다고 합니다.
▲ 그 지곡사에서 오르는 길에는 한국자연보존협회에서
‘한국명수 1백선’ 으로 선정한 선녀탕이 있습니다.
선녀란 말에 뭔가 끌림이 있고 뭔 스토리텔링이 있을듯
야릇합니다. 필자만그런가?
▲웅석봉에 곰이 없고 ,
선녀탕에 선녀가 없어도
능선에서 호연지기를 느끼며 일망무제의 지리의 풍경에서
자부심을 느끼는 산행입니다.
▲ 천왕봉에서 거대하게 이어온 태극종주의 줄기.
중앙 좌측이 도토리봉이고 가운데 흰부분이 출발지 밤머리재입니다.
그 너머로 왕산도 선명합니다.
▲ 좌측으로는 내리저수지와 내곡사 방향입니다.
저기에서 올라 선녀탕으로하여 왕재에 오르고
웅석봉을 거쳐 십자봉과 내곡사 방향으로 원점회귀 산행도
좋은 코스입니다.
▲ 아직도 천왕봉과 좌측 주능선은
구름속에 있고..
▲웅석봉에서 갈려가는 재미있는 길이 달뜨기 능선 입니다.
이 능선을 따라 큰등날봉→고령토채취장→백운계곡으로 내려갑니다.
▲ 아! 천왕봉, 그리고 주능선..
사무친 그리움이 몰려옵니다
곧 다시 지리의 어느 골에 들어야겠습니다.
▲ 노루오줌?
산야초를 줄줄 이름을 부르는 이들을 보면 참 부럽습니다.
▲ 조망포인트를 지나고
20여분쯤 진행하며 달뜨기능선으로 향하는 갈림길을 만나고
조금 내려가자 헬지장을 만납니다.
▲ 헬기장, 여기서 정상은 300m이고
청계저수지로 향하는 계곡 길은 8.1K입니다.
▲ 300m길을 최근에 계단을 만든듯 합니다.
마지막 발걸음이 천근만근입니다.
▲ 힘을 내 봅니다.
정상 못미쳐 우리의 하산길 '어천마을' 방향을 지납니다.
▲ 정상석에는 웅석봉의 이름과 관련이 있는 곰 한 마리가 그려져 있고,
좌측아래에 나무데크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웅석봉(熊石峰, 1099m)
지리산에서 흘러온 산이면서도 지리산을 가장 잘 볼 수 있는 산입니다.
지리산 천왕봉과 가장 가깝게 마주보고 있고.
합천 황매산, 가야산 등 일대 산들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
▲ 거기에서 한참을 앉아
천왕봉을 잠시 보여 주시기를 기다렸습니다.
긴 산줄기... 오늘 걸어온 길입니다.
▲ 산청읍 방향으로 둔철산과 그 너머의 황매산
그러나 오늘은 조망이 어렵습니다.
▲ 마지막 지리의 긴 산줄기를 다시보며
이제 내려가야합니다 아쉽게...
하긴 지난여름 하봉에서도 천왕봉을 구름속에 보지 못했습니다.
▲ 1978년... 40년이 흘렀습니다.
저 시절 필자는 제대를 하고 학교에 복학했던 때입니다.
유신철폐를 외치며 서소문 거리에서 데모도 했었고
에쁜 애인도 하나 생겼었죠.
▲ 아득한 세월은 그렇게 흐르고
다시 여름은 왔습니다.
▲ 조 식선생이 말했습니다.
하늘은 울어도 천왕봉은 울지 않는다고....
그렇게 듬직하게 남은 세월 살수 있었으면..
▲ 아쉽게 다시한번 산청방향도 눌러보고
그렇게 웅석봉은 산천을 감싼듯, 지리를 막아선듯 당당합니다.
▲ 이제 '어천마을'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 다시한번 천왕봉을 그리움으로 보며..
남명선생도 이 마음이었겠다 생각을 합니다.
▲ 가파른 1K여를 넘어지며
그렇게 내려서면..
▲ 임도를 만납니다. 지리산 둘레길의
한 코스입니다.
▲ 지리산 둘레길이 길게 이어졌지만
마을로 산으로 넘나드는 그 길은
필자는 아직 묘미을 모르겠습니다.
▲ 이런 날씨는 계곡으로 들어서면 좋지만
단합대회를 위하여 재미없는 임도길을 길게 따라 내려옵니다.
▲ 달뜨기 능선...
이 능선은 한국전쟁 후 중봉 아래 치밭목비트에 몸을 숨기고 있던 빨치산이
이 능선 위로 떠오르는 달을 보며 고향생각에 잠겼던 곳이라고 합니다.
가슴 시린 우리 현대사의 상징적인 능선
▲ 언제한번 그 달뜨기 능선을 걸어 볼 것입니다.
저 아래 청계저수지도 보이고.
▲ 사람은 '폼'부터 좋아야 합니다.
필자의 촬영 모습과는 격이 다릅니다.
가능하면 멀리 떨어져 걸어야합니다.
그 곁에 서면 주눅들어 좌절합니다.
▲ 그 길은 길고도 지루합니다.
시원한 바람이 있으면 덜 그랬을 겁니다.
▲ '하늘 나리'라던가?
그 신비스러운 무늬과 빛깔에 탄복합니다.
▲ 매말랐던 골마다 생명력이 넘치고...
▲ 그렇게 허기 질 무렵
'한재'에 도착합니다.
많은 다른 산악회는 다시 여기서 수리봉으로 석대산으로 치올라
진자마을까지 종주합니다.
▲ 오늘의 단합대회 장소인 청계산장은
여기서 넘어 1.5K여를 내려가야합니다.
▲ 그렇게 다시 하루의 추억이 서리 웅석봉.
▲ 넓고 아름다운 단합대회장소에 도착합니다.
▲ 이제부터 거기서 즐거움을 나눕니다.
▲ 뜨거운 백숙으로
곤함과 허기짐을 날려보내고
▲ 점점 즐거움의 소리는 커 가는데....
▲ 이 시절에 만난 정겨운 님들,,
오래오래 같이 이기를 빌어봅니다.
▲ 자, 이제부터 족구입니다.
한 잔 얻어마신 것으로 영 몸이 안 따릅니다.
▲ 마음은 간절하지만
제대로 안됩니다.
▲ 한 잔들 자신 탓도 있습니다만
그게 어디 한잔 뿐이겠습니까?
▲ 세월은 예쁜 우리누나를 할머니로 만들어 버리는 잔인함처럼
오늘 우리에게도 그렇게 내려 앉았는 것을...
▲ 그렇게 즐거움 너머로 작년에 올랐던 수리봉이 저 위에 있고
그 좌측으로 석대산이 이어집니다.
▲ 지리산을 그렇게 사모했던 500년 전의 한 사람...
그를 버스에서 짧은 강의로 소개했습니다.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선생.
우리의 우뚝한 천왕봉으로 그리 서 있습니다.
------------------------------
두류산(지리산) 양단수를/
조식(曺植)
頭流山(두류산) 兩端水(양단수)를 녜 듯고 이졔 보니,
桃花(도화)뜬 맑은 물에 山影(산영)조차 잠겻셰라.
아희야 武陵(무릉)이 어듸오 나난 옌가 하노라 . <해동가요(海東歌謠)>
[풀이]
지리산의 양단수(두 갈래 물줄기)를
옛날에 듣고 이제 와 보게되니
복숭아꽃이 떠내려가는 맑은 물에는
산 그림자 조차 잠겨 있구나.
야야. 무릉도원이 어디냐 나는 여긴가 하노라.
'山行..그리움따라 > 아! 지리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 지리(의신~삼정~벽소령~덕평봉~칠선봉~영신봉~세석~음양수~대성마을~의신 /22.2Km) (0) | 2017.10.06 |
---|---|
지리산 의신옛길(신흥마을-의자바위-의신마을/ 4.2K) (0) | 2017.07.23 |
2. 아! 다시걷는 희열, 지리종주(성삼재-연하천-벽소령-세석-장터목-천왕봉-백무동/35.8K) (0) | 2017.06.07 |
1. 아! 다시걷는 희열, 지리종주(성삼재-연하천-벽소령-세석-장터목-천왕봉-백무동/35.8K) (0) | 2017.06.07 |
아! 지리.남부능선(청학동-갓걸이재-삼신봉-내삼신봉-쇠통바위-상불재-삼성궁-주차장 (10K.5시간) (0) | 2017.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