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行..그리움따라/강원도

강원 영월. 잣봉과 동강의 레프팅...

산꾼 미시령 2016. 8. 15. 07:41

 

 

(寧越)!

옛부터 누워서도 다스리는 곳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예나 지금이나 한적한 고을이다.

그런 영월에 아주 큰 시끄러운 사건이 있었으니 단종이 청령포유배되고 끝내 거기서

죽음을 맞이하고, 200년후 복권되어 그의 무덤이 왕릉의 격식을 갖춘, 그래서 영월은

 김삿갓, ‘동강도 유명하지만 영원한 단종의 고장이다.

 

단종(端宗)

1441년생이니 우리보다 500년 먼저 태어난 사람, 세종의 손자다.

세종의 뒤를 이은 문종이 즉위 2년만에 병으로 죽자 12살에 임금이 되었으며, 아버지 문종은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김종서 그리고 집현전학자들에게 특별히 아들 단종의 안위를 부탁하였다.

 

그러나 1년이 못되어, 삼촌 수양은 한명희등과 결탁하여 황보인, 김종서를 독살하고 스스로

영의정 되고 권력을 손에 쥐게되니 이것을 계유정난이라 한다

 

 단종은 1년후의 끔찍한 일을 상상도 못하고 14세에 한 살 위 송씨를  왕비로 맞으니

그가 비운의 왕비 정순왕후

 

 계속하여 왕위 찬탈에 걸림돌이 되는 형제들을 하나씩 제거한 수양은 결국 단종 즉위 3년만에

단종을 상왕으로 하고 스스로 세조임금이 된다

 

그후로도 사육신등 공포정치는 이어졌고, 2년후에는 단종을 노산군으로 강등시켜 영월 청령포에

유배를 보냈는데 이때만 해도 죽일 생각까지는 없었다.

군사50으로 지키게 하고, 강원도 관찰사에게는 철따라 과일이며 먹을 것을 바치고

잘 모시라고까지 하였다

 

 한양을 떠난지 7일만에 도착한 청령포,

육지의 섬같은 곳으로 두견새만 우는 그런 곳이었는데 두 달만에 홍수가 나자 관아로 거쳐를

옮겼고  그 후로도 여기저기서 단종 복위운동이 끊이지 않자 결국 유배온 지 4개월만인

14571024일 오후 5,

 의금부도사 왕방연이 사약을 들고 도착하였고, 차마 사약을 들이지 못하자 단종을 모시던

자가 활 시위로  목졸라 17세에 죽게 된다.

 

 사약을 들고 와 사형집행을 하고 돌아가던 왕방연, 가슴 저린 시조를 남겼는데 우리가 잘 아는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님 여의옵고

   내마음 둘데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내마음) 같아서 울어 밤길 에놋다(가는구나)

 

 단종의 시신은 동강에 버려졌다. 이를 거두는 자는 3족을 멸하리라 엄명과 함께...

그러나 영원사람 엄홍도가 아들과 같이 밤에 몰래 시신을 찾아  곡하며 눈 덮힌 산에

노루 한마리가 앉아 있다가 비낀, 그 곳에 눈이 없자 명당인줄 알고 몰래 매장을 하고

묘지를 돌봤다

 

 그로부터 59년 만에 중종이 단종묘를 찾아 제사드리라는 어명을 내려 복권되고,

숙종 때 단종으로 복위되어 조선의 제6대임금으로 영녕전에  위패가 모셔지고, 묘지도

 장릉이란 왕릉이 된다. 250년 만의 일이다.

 본래 왕릉은 서울에서 100리 안에 두게되었지만 단종의 장릉은  강원도 깊은 산골에,

병풍석도 없이 서 있지만 8년전 조선왕릉들과  같이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다

단종이 사사되고 복권되기까지 이에 관련되어 268명이 죽었다

 

 단종의 왕비 정순왕후는 어찌되었나?

 단종보다 1살 많은 15세에 왕비되어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등될 때 군부인으로 강등되고,

단종이 서인으로 강등될 때 관비가 되었다가 3년만인 18세에 단종이 죽고, 심지어 신숙주는

자기 관비로 삼으려 자기 달라고 까지 했지만 백성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으며 82세까지 살았다.

 

 죽은지 177년만에 단종과 함께 왕비로 복권되어 묘에서 능으로 격상되었지만 정순왕후를

거둬 준, 해주 정씨 호의를 무시할 수 없어 이장도 못하고 지금도 해주 정씨 문종 묘 12기와 함께

남양주 사릉에 모셔져있으니

남양주와 영월,,, 천리길에 각각 묻혀있다.

 

 이 단종이야기를 우리민족 가슴속에 새겨준 이는 춘원 이광수였다.

일제강점기 단종애사, 당시의 친일파들과 일본 총독등을 빗대어 비판하였다

 

그는 사람이 슬픈 것을 보고 울기를 잊지아니하는 동안,

사람이 불의를 보고 분내는 것을 변치않는한 역사는 그래도 희망이

있다고 했고,

 

 반공법 20년을  감옥에 있다가 석달전 돌아가신 신영복 선생은

  역사를 배우기보다, 역사에서 배워야한다...했다

 

 그 처절한 아픔의 고장 영월, 그 곳을 간다.

 처연한 단종애사(端宗哀史)

 그 가슴으로....

 

 

오랜시간 달려온 버스는 '남제천IC' 에서 내려 깊은 영월로 한참을 들어간다.

제천이 처가인 李 대장님에게 '처가동넨줄도 모르고 잠만자는냐'니

'아 바꾼 걸 모르는가베'?

처를 바꾼건지. 뭔 소린지...

내일 바로 제수씨께 일러줄거다.

 

이윽고 영월 땅 거운리...

버스에서 단종과 정순왕후에 대하여 10분 역사강의를 하였다.

단종과 정순왕후의 애절함이 잘 전달되었는지.....

 

평창군 오대산에서 흘러 발원한 '동강'은 영월읍 하송리에서

서강을 만나 남한강으로 훌러간다

 

억겁의 세월을 머금고 강과 들을 넘나들며 만들어 놓은 비경이

엄청난데  그 최고는

어라연(魚羅淵)이다.

얼마나 아름다우면 고기가 비단결 같이 떠오르는 연못 이라고 불렀을까.

 

이 곳을 제대로 감상하려면

 영월읍에 솟은 잣봉(해발 537)’에 올라야 한다.

 산이 곧 전망대다.

동강의 비경을 옆구리에 차고 가는 산행은 등산로가 짧고

 강변 트레킹과 래프팅을 겸할 수 있어 일석삼조다.

 

산행 시작은 '거운리 거운분교'

어마어마한 레프팅 인파를 뚫고 다리를 거너

산행은 시작되는데  여기서 잣봉, 어라연, 만지나루등으로 돌아온다.

 

  '어라연 3'라고 쓰인 안내판에서 좌측 마을로 한참을 오르면

마차마을이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은  움푹 파인 분지에 터를 잡고 있다.

옛날에는 상·하마차로 나뉘어 제법 마을 다웠지만 지금은 4가구만 남았다. 


마차마을에서 '만지나루'를 오가던

'만지고개'를 넘고...

지난 겨울 교직원들과 통영을 갔을 때 '만지도'를 발견하고

뭘 만지라는 말이냐 웃던 생각이 난다.

'만지(滿池)

' 물이 늘 가득한 연못이란 의미겠지...

 

여름의 시멘트 길을 걷는건 유쾌하지 않다

산행뒤에 이어질 레프팅에 더 마음이 가 있으니

발걸음은 빨라지고..

 

그렇게 잘들 간다 마차마을이건,

만지고개건 별로 관심은 없고

'잣봉'을 향한다.

 

한참을 그렇게 가다 좌측으로

방향은 이어지고

 

그래도 이제 숲 길은 이어지지만

먼지가 풀풀 날리는 여러 고개를 넘나들어야 한다

 

이제 숲속 오솔길이다.

그늘도 시작되고 시원한 바람도 간간이 분다

 

이제 정상까지 1.4K는 비교적 부드러운 숲길이다.

아름다운 풍광을 가슴에 그리며 힘을 내보자

 

오늘의 즐거움은 레프팅에 정신이 온통 가 있어

갑절로 더하고..

폼을 잡아보지만

아무나 미스코리아가 되는건 아닐것인데...

 

그렇게 오르다 보면 급격한 계단과 데크를 만나는데

오늘 산행의 최고의 난 코스이다.

 

소나무와 굴참나무, 회양목이 군락을 이룬 긴 숲 길..

1k여를 여러번 쉬며 올라야한다

 

그렇게 안부에 닿으면 좌측으로 500m는 이런 안연한

길이 이어지고

 

  나무 사이사이로 언뜻 보이는 동강 줄기가 발 아래로 아득한데,

 어라연·된꼬까리의 거센 물소리가 귀에 가깝다.


구절양장 굽이치는 어라연이 한 눈에 잡힌다.

가히 절경이다. 


능선을 타고 가는 이 길은 동강을 옆구리에 끼고 가는 소나무숲 길이다.

소나무는 하늘로 높고 곧게 치솟아

마치 대숲 같다는 생각을 하고..

 

정상을 향해 조금 더 오르면 나타나는

전망대는 어라연 계곡의 속살을 숨김없이 볼 수 있다.


동강 위에 우뚝 솟은 삼선암과 옥순봉, 깎아지른 뼝대(절벽),

초승달 모양의 새하얀 모래톱 등 눈앞에 펼쳐진

 천혜의 비경은 그대로 한 폭의 산수화다.

 

상선암,중선암 하선암...

그래서 삼선암이다.

최고의 풍광자리이지만 겨울철보다 조망이 힘들다.

나중 안 일이지만 레프팅을 하며 저 옆으로 갈거다.

 

 삼각점이 박힌 잣봉 (537m) 정상.

북쪽으로 잣봉의 모산인 694봉과 동쪽으로 고고산으로 이어지는 산릉,

남쪽으로 완택산이 그림처럼 펼쳐진다.

 

거기서 점심을 나누고 ..

한바퀴돌아 어라연 가까이로 돌아 내려가야 하지만

우린 레프팅을 해야하니 ..

아쉽지만 오르던 그 길로 다시 내려간다


강변에 내려서면 줄곧 동강줄기를 따라간다는데..

  자갈로 덮인 이 길은 된꼬까리여울을 지나

과거 동강댐 예정지로 거론됐던 만지(滿池).

라는데

아쉽게 멀리서 내려다 보며 내려간다.


 과거 목재를 운반하던 떼꾼들이 잠시 쉬어가던 곳으로 만지나루에는

주막도 있고 시끄러웠겠다.

오늘 우리처럼..


내려가며 다시 동강을 간간이

내려다 보고

 

강원도 영월 땅의 동강(東江)

구불거리는 물줄기의 모습이 장관이다.

포토 라인인듯 사람들이 줄을 서고

 

산을 휘감고 돌아가며 흐르는 강물은 한 폭의 동양화처럼 아름답다.

 동강의 수려한 풍광은 산 위에서 볼 때 가장 실감 난다.

산속을 파고든 강줄기가 바로 발아래 펼쳐지기 때문이다.

 

그 안연한 숲길을 다시

서둘러 내려간다.

 

  그 시가 생각났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고은)

오를 때 보지 못한

멋진 나무에서 모두들 사진을 '박는다'

 

 

한바퀴 돌아 강변으로 걷지못함을 아쉬워 하지만

레프팅을 한다는데 하나는 포기해야 하지..

 

미끄러지듯 깊히 그렇게 내려간다

강변에서 정선 아리랑을 구성지게 불렀을

그 시절도 음미하면서..


  '푸른물 흘러흘러 강원유곡 백삼십리

강허리에 흰빛자갈 눈빛을 가른다

 

정선평창 기암절벽 굽이마다 돌고돌아

징검다리 건너 어라연에 영월동강 굽이치네 '

박경규 시인의 노래다  


그렇게 '마차마을'엔 가을이 익어가고

세월은 간다

 

'청령포 어린단종 두견도 울고울어

거운교 건너 문산나루 영월동강 굽이치네'

그렇게도 노래했다

 

내려선 곳에 '속리산 고속'

내 고향 청주에서 온 산꾼 들을 기다리며 서 있었다

어릴적 청주서 서울가는 고속버스다

고향생각에 가슴이 뛰고...

 

그렇게 무심히 동강엔

수많은 레프팅 객들로 여전한데...

 

12k를 버스로 이동하여

레프팅을 한다.  가믐들어 물은 좀 적지만

 

3시간여에 걸친 즐거움은

동심의 시절로 돌아간 그 즐거움이다.

 

물을 뿌리고, 조정선수모양 시합도 하고

중간 휴식터에서 막걸리와 파전도 먹고

물 속에 뛰어들어 물놀이도 한다

 

방수팩이 없어 그 절경들을 사진 찍지못함이

아쉽기 그지없지만..

 

그렇게 3시여만에 다시 돌아 와

마무리를 해야하는데,,,


3시간여를 한번도 화장실들을 별도로 가는건 못 봤다

어찌 해결 했는지는 나도 모른다.


그렇게 오늘도 뜨거웠고 즐거웠던 하루...

그런 영월 땅이었다.

 

아! 영월...

유배간지 4개월만에 죽음을 맞이한 17세 단종...

동강에 버려진 그의 시신은 '엄홍도'라는 사람에 의해 몰래 건져내 묻히고

250년이 지나서야 왕릉 '장릉'이 되었다

 

곧바로 오를수 없어 우회하여 오를만큼 언덕 위에

병풍석도 없이 그렇게...

 

청령포(淸泠浦


맑은 청(淸)에, 물맑을 령(泠),

 그리고 물가 포(浦)자를 써서...


그렇게 오늘도 아픔을 간직한 채 육지의 섬처럼 남아잇다

,

'관음송(觀音松)' 청령포안에 있는..

볼관 소리음자를 써서 '단종을 보았고 그의 울음 소리를 들은'

600년 나무이다.

 

어린 단종이 외로움을 달래며 쌓았다는 망향탑...

세월은 그렇게 흘렀다

 

청령포 안의 여러 건물들은 최근에 복원된 거다.

단종은 청령포에 두 달을 살았다  ..

 홍수가 나서 관아로로 급히 자리를 옮겼고 그렇게 영월 생활 넉달만에

죽음을 맞이했다

오늘도 아픔을 간직한 채

조용히 거기에 있다.

 

한양을 그리며 바라봤다는 '노산대'

단종은 임금에서 상왕으로, 다시 노산군으로,

다시 서인으로, 그렇게 강등되었었다

 

12세에 임금되고 3년만에 상왕으로 물러앉고

17세에 죽음을 맞이한다

그렇게 그렇게 역사는 흘렀다.

아마 이 노래는 영월 땅 유배기간 4개월을 3년으로

혼동한 모양이다

 

15세에 한살 아래 단종에게 시집 와

왕비에서 관비로, 다시  서인으로 ..

그렇게 82세까지 온갖 고난을 다 겪은 정순왕후..

 

겨우 단종의 누이 경혜공주(敬惠公主)가 시집 간

  해주 정씨 가문 덕분으로

문중 산에 매장되었다가 177년 만에 복권되어

왕비릉이 되었다..

천리 영월의 단종을 그리며 '남양주 진접'에 그렇게 사릉으로 남아있다.

2008년 영월의 장릉과 함께

48개 조선왕,왕후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되었다


사약을 들고 사형집행을 갔던 왕방연...

그의 눈물겨운 시도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서

오늘에 이르고....

역사는 그렇게 흘러간다.

.......................................

정겨운 님들과 즐거움과

역사의 숙연함이 함께 한 하루....

이만하면 감사한 세월이지 말입니다. ...

 

동강은 흐르는데

/박경규

 

푸른물 흘러흘러 강원유곡 백삼십리

강허리에 흰빛자갈 눈빛을 가른다

정선평창 기암절벽 굽이마다 돌고돌아

징검다리 건너 어라연에 영월동강 굽이치네

 

~ 높고 낮은 산자락에 하얀구름 머무르고

이슬맺힌 맑은 햇살에 동강은 흘러 흐르는데

조양수 흘러흘러 가수리길 동남천에

강허리에 적빛자갈 눈빛을 가른다

 

청령포 어린단종 두견도 울고울어

거운교 건너 문산나루 영월동강 굽이치네

~ 높고 낮은 산자락에 뭉게구름 머무르고

풀빛맺힌 푸른하늘에 동강은 흘러 흐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