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신과 생거진천(生居鎭川)’ 산청 ‘동의 보감촌’ 뒷산에는 왕이 머문 산’이란 왕산(王山)과 필봉산(筆峰山)이 있고 그 산의 넘어 기슭에는 돌을 쌓아 조성한 구형왕릉이 있다. ‘구형왕(仇衡王)’은 가락국 시조 김수로의 10대손으로 521년 제10대왕으로 등극했지만 11년 후 532년, 백성을 전쟁 속에 밀어 넣을 수 없어 조용히 신라 법흥왕에게 나라를 양위하고(讓王) 조촐하게 식솔들만 거느리고 여기에 기거하다가 ‘나라 잃은 죄와 원통함이 이리도 큰데 내 어찌 편히 흙에 묻히겠는가. 나의 무덤은 돌로 만들어라" 유언을 남기고 그렇게 묻혔다. 그는 항복할 때 아들 셋을 데리고 진골에 편입 되었는데 그 아들 중 김무력은 백제 성왕을 전사시킨 장군 이였으며, 김유신의 조부가 된다. 그 김무력의 장남이 김서..